본문 바로가기
이명

운동후이명 격렬한 신체 활동이 청각 기능에 끼친 영향

by 풀과나무 2025. 4. 16.

 

뭐든 과하면 모자란 것만 못하다는 말을 하곤 합니다. 

운동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적절한 운동은 체력과 면역력을 높여주는 동시에 일상의 활력소로 작용하지만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건강을 망치는 요인이 되기도 하죠. 특히 격렬한 신체 활동은 이명으로 이어지기도 하는데요.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아령을 들려는 남성의 팔의 모습



운동후이명 원인은?


 

운동후이명은 청각 문제뿐 아니라 신체 전반의 변화와 관련이 깊습니다. 격렬한 운동이 청각 기능에 어떤 영향을 끼쳐 이명으로 나타난 것인지, 몇 가지 발생기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진맥을 보고 있는 한의사의 모습



1. 혈압 및 혈류의 변화


강도 높은 운동은 순간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키고 전신의 혈류 분포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킵니다. 이 과정에서 내이(달팽이관과 전정기관)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하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는데요. 이는 청각 세포의 산소 및 영양 공급에 영향을 주어 일시적인 기능 저하나 이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자율신경계 불안정


운동은 교감신경을 활성화시킵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우리 몸을 '긴장 모드'로 전환시키는데요. 그런데 운동후 회복하는 과정에서 부교감신경으로의 전환이 원활하지 않거나 교감신경 항진 상태가 계속되면 이명이나 심장두근거림, 불안감, 두통 같은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청각기관이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기관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한쪽 귀를 막고 있는 사람의 모습



3. 내이의 압력 변화


운동 중 무리하게 호흡을 조절하거 힘을 주게 되면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중이 및 내이(청각과 평형을 담당하는 구조)에 전달되어 달팽이관 내 압력 변화를 일으키는데요. 이러한 변화는 경우에 따라 이명, 귀먹먹함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노폐물 축적과 염증 


격렬한 운동 후 체내에는 일시적으로 젖산이나 활성산소, 염증 매개물질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이들 물질은 신경세포나 혈관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요. 이로인해 내이 혈관의 순환이 방해받게 되면 귀에서 소리가 들릴 수 있습니다. 



5.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운동후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지 못하거나 나트륨이나 칼륨 등의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면  내이의 림프액 성분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청각기능에 민감하게 작용해 이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환자의 손등에 침을 놓고 있는 한의사



운동후이명 한의학적 원인과 치료 방향


 

한의학에서는 운동후이명의 원인을 전신의 기혈순환 장애와 장부의 균형 이상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크게 간과 신장 기능의 문제, 담음과 어혈 문제로 보고 있는데요. 좀 더 자세하게 풀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간과 신장 기능의 저하


격렬한 운동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혈액의 흐름을 거칠게 만드는데요. 이는 간신음허(肝腎陰虛)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 간은 해독기능뿐 아니라 혈을 저장하고 전신의 기를 순조롭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간의 기능이 약해지면 피로나 눈의 피로, 근육 경직 문제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명이나 어지럼증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신은 신장을 가리키는데요. 신장은 체내의 독소와 노폐물을 걸러내고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청각기능과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한의학에서는 신장 기능의 저하를 이명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기도 한데요. 신장 기능의 저하는 독소와 노폐물에 의한 혈액순환 장애와 청각신경 손상을 불러와 이명을 일으킵니다. 

요약하자면,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간과 신장의 균형이 무너지면 기혈공급에 문제가 생기면서 이명이 발생하게 됩니다. 

 


2. 담음과 어혈에 의한 순환 장애


담음(痰飮)은 체내 수분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발생한 끈적하고 탁한 노폐물을, 어혈은 혈액이  제자리에 머물러 순환하지 못하고 정체된 상태를 말합니다.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담음과 어혈이 활성화되어 귀 주변의 경락을 막게 될 경우 청각 기능에 영향을 주면서 이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간과 신장 기능의 강화와 담음과 어혈 제거를 통한 기혈순환 개선이 운동후이명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운동후이명 일시적이지 않다면


 

운동 후 발생하는 이명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몸의 회복력 저하나 기혈 불균형이 신체에 신호를 보내는 과정일 수 있습니다. 특히 간신의 허약이나 담음, 어혈 등 한의학적 원인을 동반한 경우라면 만성화될 가능성염두에 두셔야 하는데요. 

청각 기능은 삶의 질과 직결되는 만큼 사소한 변화에도 관심을 갖고 원인을 바로잡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몸이 보내는 신호를 놓치지 않고 적절한 대응을 시작하는 것이 건강한 회복의 첫걸음이 될 수 있음을 잊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운동후두통 혈류 변화가 통증으로 이어졌을 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