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압은 두개골 내부(뇌, 뇌척수액, 혈액)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말합니다. 성인에서 정상 뇌압은 7–15 mmHg 정도인데요.
이러한 두개강은 단단한 뼈로 둘러싸여 있어 내부 압력이 조금만 올라가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두통입니다.
뇌압 두통, 뇌압이 오르면 머리가 아픈 이유
뇌에는 고통을 느끼는 수용체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뇌를 둘러싼 혈관벽, 뇌신경, 대뇌 정맥동 같은 구조물에는 통각 수용체가 풍부한데요. 뇌압이 상승하면 뇌실질이 부풀거나, 뇌척수액 압력이 증가하거나, 정맥계가 확장됩니다. 이로 인해 뇌막이나 혈관벽, 주변 신경들이 압박을 받게 되면서 두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밤에 더 심해지거나 아침에 일어날 때 심한 두통이 발생했다면 뇌압 상승에 의한 두통일 수 있는데요. 눕는 자세에서는 정맥 귀환이 줄어 뇌압이 더 쉽게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뇌압이 오르는 이유와 특징은?
그렇다면 뇌압이 상승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요?
다양합니다. 뇌종양, 뇌출혈, 외상성 뇌손상 후 부종, 뇌수종, 정맥혈 귀환 장애, 고혈압성 뇌병증 등등. 적극적인 대처를 필요로 하는 질환임을 알 수 있는데요. 따라서 뇌압상승에 의한 두통의 특징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몇 가지 특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침에 더욱 심한 두통
√구역질, 구토 동반
√머리를 숙이거나 기침, 재채기를 할 때 두통이 심해짐
√시야흐림, 복시(사물이 겹쳐 보임)
√의식의 변화, 졸림, 심한 경우 혼수상태 발생
한의학에서 바라본 뇌압 상승의 원인과 치료방법
한의학에서는 뇌압두통의 원인을 간양상항, 담탁중조, 기혈허약, 어혈저체 등의 관점에서 살피고 있습니다. 각 용어별 특징을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 간양상항(肝陽上亢, 간기 상승)
간(肝)은 기혈의 순환을 주관하는 기관입니다. 스트레스나 화병, 울화 등으로 간의 기운이 과도하게 치솟으면 머리로 기운이 몰리면서 두통, 안압, 어지럼증, 얼굴 붉어짐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담탁중조(痰濁中阻, 담음과 습담의 정체)
몸속 수분대사가 원활하지 않으면 담음(痰飮, 병리적 습기 찌꺼기)이 쌓이고,
이것이 중초(脾胃)와 상초(머리 쪽)를 막으면 머리가 무겁고 눌리는 듯한 두통, 집중력 저하, 멍함이 발생합니다.
√ 기혈허약(氣血虛弱, 기혈 부족)
몸 전체의 에너지와 혈액이 부족하면 뇌에 충분한 영양소가 공급되지 않게 되면서 두통을 비롯해 빈혈성 어지럼증이나 멍함, 어질어질함, 깜빡임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혈저체(瘀血阻滯, 어혈 정체)
머리 속 혈류가 정체되거나 어혈(죽은 혈)이 쌓이면 혈관 내 순환 장애로 머리가 꽉 조이는 듯한 통증, 찌릿찌릿함, 한 부위에만 집중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뇌압 상승에 의한 두통은 적극적인 대응을 필요로 하는 응급 상황일 때가 많습니다. 다만 순환장애에 의한 만성 두통 같은 비응급성 두통 상황이라면 몸의 기운을 강화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처방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적극적인 대응을 필요로 하는 뇌압두통
뇌압 상승에 의한 두통은 스트레스나, 피로가 쌓여 발생하는 두통과는 궤를 달리합니다.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위협적인 질환들과의 관련성이 높은 만큼 적극적으로 대응을 해주셔야 하죠. 몸이 보내는 신호를 가볍게 여기지 말고 초기 현명한 대응으로 건강한 일상 지켜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음 두통, 소리 스트레스가 긴장성 두통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0) | 2025.06.11 |
---|---|
수성구한의원 두통심할때 진통제 대신 원인을 찾아보세요 (2) | 2025.06.04 |
일어날때두통 기립성두통의 원인과 예방은? (0) | 2025.05.28 |
대구편두통한의원 통증 원인에 따른 대응으로 (0) | 2025.05.23 |
우울증 두통 발생 이유와 한의학적 치료방법은? (0) | 2025.05.19 |
댓글